SSL 과 HTTPS 의 이해
SSL 과 HTTPS 의 이해
- SSL (Secure-Socket-Layer) SSL은 인증서로 사면서 구매를 할수도 있다. https로 접속할수있게해준다.
- TLS (Transport-Layer-Security) SSL의 상위 단계
로드밸런서에 SSL 인증서는 AWS나 클라우드에서 딸각만 하면되므로 매우 쉽다. 그러나 VM 인스턴스에 SSL 인증서를 설치하기위해서는 직접 설치를 해야되기 때문에 매우 복잡하다.
브라우저에서 https로 통신하는 방법
- 로드밸런서와 VM인스턴스에 모두 SSL 인증서 설치하기 (복잡하더라도 하면된다)
- 로드밸런서에만 SSL 인증서 설치, VM인스턴스는 http 로 통신 ⇒ (리버스 프록시)
로드밸런서 or CDN에 SSL 을 설치 하면 된다.
AWS에서 SSL 이용하기
브라우저에 접속할때 물리적인 컴퓨터의 거리가 성능에 영향이 있다. 때문에 VM-instance 는 가까운게 좋다
(가상머신은 서비스할 지역 가까이에 두는 것이 좋다.
CDN (Contnet Delivery Network)
모든 글로벌지역에 뽑아서 가장 가까운곳에서 가지고온다.
ACM (**AWS Certificate Manager)**
CDN이 global 이기 때문에 ACM은 CDN의 default인 버지니아 북부로 설정을 꼭 해줘야된다.
인증서 구현 과정
퍼블릭 인증서 요청 → 다음
- 인증할 도메인 주소 입력 ex) www.example.com
이외 나머지는 default로 설정하고 요청한다.
❗️만약 서브 도메인이 있을 경우 서브도메인의 인증서를 또 만들어야 된다.
본인 도메인 주소가 맞는지 CNAME 과 CNAME 값을 도메인에 입력하여 인증을 받는다.
만약 직접 생성하려면 Route53에 들어가 직접 CNAME을 입력해준다.
아마존은 매우 친절하기 때문에 위에 별도의 버튼이 존재한다. → Route 53에서 레코드 생성
버튼 누르고 생성한다
이후 시간이 지나면 아래와 같이 변한다.
처음에는 검증 대기지만 이후에 발급으로 변경된다.
Cloud Front 만들기
Cloud Front 검색하여 생성
- 원본 도메인 ⇒ storage 기본 주소를 입력
- 대체 도메인 주소 본인
Cloud-Front가 생성 되면 해당주소를 Route 53에서 A레코드를 변경해주면 된다.
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.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.